6. 선택함수
여러 가지 경우에 선택을 할 수 있는 기능 제공
-DECODE(계산식|컬럼명, 조건값1, 선택값1, 조건값1, 선택값2 ...., 기본값)
비교하고자 하는 값 또는 컬럼이 조건값과 같으면 해당 선택값을 반환
모든 조건값이 불일치되면 기본값 반환
일치하는 값을 확인하는 함수(Java의 Switch와 비슷)
-CASE
비교하고자 하는 값 또는 컬럼이 ★조건식과 같으면 결과 값을 반환
[표현식]
CASE WHEN 조건식1 THEN 결과값1
WHEN 조건식2 THEN 결과값2
.....
ELSE 결과값
END
조건식은 범위 설정이 가능
그룹 함수
하나 이상의 행을 그룹으로 묶어 연산하며
총합 평균 등을 하나의 컬럼값으로 반환하는 함수
SUM(NUMBER 타입의 컬럼명): 합계를 구하여 리턴
AVG(NUMBER 타입의 컬럼명): 평균값 리턴
MAX(컬럼명) : 해당 컬럼에서 가장 큰 값 리턴
MIN(컬럼명) : 해당 컬럼에서 가장 작은 값 리턴
컬럼명 타입은 모두 가능(ANY TYPE)
★★COUNT
COUNT(*|컬럼명) : 조건을 만족하는 행 개수를 리턴
COUNT(*) : NULL을 포함한 전체 행 개수 리턴
COUNT(컬럼명) : 해당 컬럼에서 NULL값을 제외한 개수 리턴
GROUP BY & HAVING
★★ SELECT 구문 해석 순서
5:SELECT 컬럼명AS 별칭,계산식,함수식,...
1:FROM 참조할 테이블명
2:WHERE 컬럼명|함수식 비교연산자 비교값
3:GROUP BY 그룹으로 묶을 컬럼명
4:HAVING 그룹함수식 비교연산자 비교값
6:ORDER BY 컬럼명|별칭|컬럼순번 정열방식 [NULLS FIRST|LAST]
GROUB BY
같은 값들이 여러개 기록된 컬럼을 가지고 같은 값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주는 구문
HAVING
그룹 함수로 구해 올 그룹에 대한 조건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구문
HAVING 컬럼명|함수식 비교연산자 비교값
'study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5_oracle_DDL(CREATE) (0) | 2019.11.21 |
---|---|
5_oracle_서브쿼리 (0) | 2019.11.20 |
4_oracle_JOIN (0) | 2019.11.19 |
2_oracle_연산자,정렬,함수 (0) | 2019.11.15 |
1_oracle_기본개념 (0) | 2019.11.14 |